티스토리 뷰
목차
주식시장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날이 있습니다. 바로 네 마녀의 날입니다. 이 글에서는 네 마녀의 날이 무엇인지, 그리고 이 날이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네 마녀의 날이란 무엇인가?
✅ 네 마녀의 날은 주식시장에서 주가지수 선물, 주가지수 옵션, 개별주식 선물, 개별주식 옵션의 만기일이 모두 겹치는 날을 말합니다.
네 가지 파생상품이 동시에 만기 되면서 주식시장이 크게 변동하게 됩니다. 이런 상황을 마치 네 명의 마녀가 시장을 휘젓는 것처럼 비유하여 '네 마녀의 날'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.
2002년까지는 트리플 위칭데이(Triple Witching Day)라고 불리던 이 날은, 개별주식 선물이 추가되면서 '쿼드러플 위칭데이(Quadruple Witching Day)'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.
이 날은 주가가 크게 요동치기 때문에,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날로 여겨집니다.
2. 일정과 나라별 차이점
✅ 미국과 한국의 네 마녀의 날 일정은 조금 다릅니다.
미국에서는 3월, 6월, 9월, 12월의 세 번째 금요일이 네 마녀의 날입니다. 반면, 한국에서는 3월, 6월, 9월, 12월의 두 번째 목요일이 네 마녀의 날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✅ 미국과 한국의 옵션 만기일도 다릅니다.
미국은 매월 세 번째 금요일이 옵션 만기일이며, 한국은 매월 두 번째 목요일이 옵션 만기일입니다. 하지만 네 마녀의 날은 3월, 6월, 9월, 12월이 중요한 시기입니다.
3. 주식시장이 뒤집어지는 이유
✅ 네 마녀의 날에 주식시장이 크게 변동하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.
- 정리 매물이 한꺼번에 쏟아짐 : 파생상품 관련 매물이 시장에 대거 나오면서 주가가 급등락 합니다.
- 현물과 선물 가격차 정리 : 현물 주식과 선물 가격 차이로 차익거래 하던 물량들이 한꺼번에 청산되면서 변동성이 커집니다.
- 프로그램 매매 증가 : 특히 만기 마지막 1시간을 '쿼드러플 위칭 아워'라고 부르는데, 이때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주가가 요동칩니다.
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네 마녀의 날에는 주가의 변동성이 매우 커지게 됩니다.
4. 실제 주가 영향력 분석
최근 3년 9개월(2021~2024년 9월) 동안의 네 마녀의 날 주가 움직임을 분석한 결과, 미국 증시와 한국 증시에서 다소 다른 경향을 보였습니다.
미국 증시는 네 마녀의 날에 하락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. 다우지수는 15번 중 9번 하락했고, 나스닥은 15번 중 7번 하락했으며, S&P500은 15번 중 12번 하락했습니다.
반면, 국내 증시는 상승하는 날이 더 많았습니다. 코스피는 15번 중 10번 상승했고, 코스닥은 15번 중 9번 상승했습니다. 특히, 2024년에는 3월 코스닥 하락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
이 결과는 시장 분위기만 괜찮다면 네 마녀의 날도 무서워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합니다. 네 마녀의 날을 기회로 삼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.
5.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네 마녀의 날에 투자할 때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필요합니다.
- 변동성 대비 필수 :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주가가 움직일 수 있으므로,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.
- 장 마감 1시간 중요 : '쿼드러플 위칭 아워' 시간대에는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므로, 이 시간대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.
- 외국인 동향 확인 : 파생상품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, 이들의 포지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.
- 당일에만 집중하지 말기 : 네 마녀의 날 전후 며칠 동안 주가 조정이 있을 수 있으므로, 며칠 전부터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.
- 대형주 위주 변동성 : 코스피200 종목들이 특히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, 이 점을 참고하여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.
6. 2024년 마지막 네 마녀의 날 전망
2024년 마지막 네 마녀의 날은 특히 중요한 변수들이 있습니다.
12월 11일에는 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가 예정되어 있고, 12월 19일에는 FOMC(연방공개시장위원회) 결과가 발표됩니다. 이 두 가지 이벤트가 시장 방향성을 크게 좌우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.
또한, 한국과 미국 네 마녀의 날 사이에 FOMC가 끼어 있어 변동성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 한국 네 마녀의 날은 12월 12일, FOMC는 12월 19일, 미국 네 마녀의 날은 12월 20일입니다.
이럴 때일수록 투자자들은 몇 가지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.
- 레버리지 최소화: 변동성이 큰 날에는 리스크도 크기 때문에, 과도한 레버리지는 피해야 합니다.
- 단기매매 신중 접근: 네 마녀의 날에는 단타로 수익 내기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.
- 포트폴리오 점검: 이 시기에 자신의 포지션을 점검하고 리밸런싱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기술적 분석 한계: 네 마녀의 날에는 수급이 가격을 좌우하기 때문에, 차트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.
결론
네 마녀의 날은 주식시장에서 큰 변동성을 초래하는 날입니다.
하지만 시장 상황만 괜찮다면, 네 마녀의 날도 투자자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 중요한 이벤트들이 겹치는 2024년 마지막 네 마녀의 날에는 더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 전략이 될 것입니다.